'구르믈'과 '로빈 후드'의 역사 의식

영화 이야기 2010. 5. 13. 11:06 Posted by cinemAgora

*스포일러 다량 함유

최근 본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뜬금 없게도 80년대 학생 운동 내부의 이른바 NL PD 논쟁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지금도 진보 진영 내에선 이 두 세력간의 갈등과 논쟁이 지속되고 있지만, NL PD 논쟁이 생경한 분들을 위해 내가 아는 한도 내에서 정리하면 이렇다.

민족해방파, 또는 최근의 진보 진영 내에선 자주파로 불리는 NL(National Liberation) 계열은 한국 사회가 ‘식민지 (
)봉건' 상태, 그러니까 반쯤은 봉건주의적 수탈 상태에 걸쳐져 있는 식민지 상황에 처해 있다고 규정했다. 따라서, ‘민족해방’을 최우선 과제로 여긴 이들은 방법론적으로는 '분단의 해소'와 함께, 미국의 영향력을 몰아내야 한다는 믿음을 지녔다.

반면, 민중민주파로 불리는 PD(People Democracy) 계열은 한국사회를 ‘신식민지 국가독점자본주의사회로 규정했다. 그러니까 다국적 기업을 앞세운 새로운 식민 수탈 시스템과 그에 협조하는 국가, 그리고 독점 자본이 하나의 덩어리로 착취 카르텔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며, 국가 독점 자본에 맞선 노동자의 해방이 최우선 과제라고 믿었다. 이 계열의 많은 이들이 현장에 투신, 노동 운동을 조직화하는 데 힘을 썼던 것은 그래서다.

여러 오해의 소지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단순화 해본다면, 결국 민족이 우선이냐, 민주주의가 우선이냐의 문제이다. 종국엔 똑 같이 잘 사는 사회,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고 있지만,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방법론이 갈리고, 또 논쟁으로 확대됐던 것이다. (물론 우익의 입장에선 양 파 모두 똑같이 빨갱이다.)

다시 영화로 돌아가본다면,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 대동계를 이끄는 이몽학(차승원)과 맹인 검객 황정학(황정민)의 대립은 앞서 언급한 양대 세력간의 알력을 연상시키는 구석이 많다. 우선 이몽학은 일본의 침략을 부른 것은 부패에 찌든 조정과 관료들의 무능함이므로, 먼저 조정을 무너뜨려야 한다고 믿는 인물이다. 실제로 이몽학은 관아를 하나하나 공격해 조정을 압박하는 전술을 택한다. 반면, 황정학은 당장 외세가 쳐들어오는데 조정을 무너뜨린들 무소용이라고 믿는 인물이다. 우선 외세를 막고, 후에 평등 세상을 구현해야 한다는 게 그의 믿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실 학생 운동에선 NL계열, 그러니까 황정학 류의 믿음이 주류였던 것을 감안하면, 영화는, 물론 역사적 사실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것이긴 하지만, 이를 반대로 구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몽학의 믿음은 철 모르는 것으로, 황정학의 믿음은 더 없이 적절하고 현실적인 것으로 그림으로써 민족에 방점을 찍고 있는 셈이다. 물론 영화 속의 민족주의가, NL 계열의 민족주의와 그 개념이 다르긴 하겠지만, 어쨌든 민족을 보위하는 게 급선무라는 믿음이, 현실에서나 영화 속에서나 더 위력적이라는 방증이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황정학이 옳았다고 볼 수도 없다. 그는 외세를 막는 것이 아닌 이몽학의 야심을 꺾는 데 더 관심이 많아 보이기 때문이다. 설령 이몽학의 최종 목표가 왕권이라 할지라도, 이미 외세의 침략 앞에 풍전등화가 된 당대 조선 사회에서 그것이 소용 없는 짓이라는 것을, 눈 멀고도 적의 검을 귀신처럼 알아내는 황정학은 왜 알지 못했을까? 그래서 왜의 침략에 맞설 노선을 현실화하는 대신, 이몽학 제거에 나선 그의 행동 이면에는 그 역시 권력을 경쟁자에게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슬쩍 읽히는 것이다.

물론 이준익 감독은 두 사람의 대립을 통해, NL이든 PD든 진보라는 명분을 앞세워 놓고 비겁하게도 권력으로 전진한 소위 386 세대를 슬쩍 비꼬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역시 민족 우선의 이데올로기로 영화를 갈무리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어떤 태도도 이데올로기적이지 않은 건 없다.

말이 나왔으니 한국의 시대극에서 자주 활용되는 민족 우선적 태도에 대해 좀더 들어가보자. 사실, 민족이라는 개념 앞에 내부적 갈등은 쉽게 봉합된다. 그러니 시대를 막론하고 위정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이 또 민족이다.

올해 칸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된
리들리 스콧 감독의 신작 시대극 <로빈 후드>는 바로 그런 역사적 풍경을 잘 보여주는 사례 가운데 하나가 될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십자군 전쟁에 참전했다고 돌아온 로빈 롱스트라이드는, 사자왕 리차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존이 폭정을 일삼자, 반란군에 가담한다. 그리고 반란군은 존 왕에게 왕실의 수탈을 제약하는 대헌장(magna carta)에 서명할 것을 요구한다. 때마침 프랑스의 침략으로 위기에 빠진 존 왕은 서명을 약속하고, 이들 반란군으로 하여금 프랑스에 맞서게 한다.

일단 민족(또는 국가)을 보위하기 위해 존 왕을 향해 들었던 칼날을 거두었던 반란군은, 프랑스군을 물리친 뒤, 서명을 재차 요구하지만 존 왕은 이미 급한 불을 끄고 난 뒤였으니 언제 그랬냐는 듯 마음을 바꾼다. 결국 이들은 민족 우선에 속은 것이다. 봉건 군주의 속성을 간파한 로빈 롱스트라이드는, 이제 의적 로빈 후드로 거듭나 존 왕을 향한 저항을 시작한다.

독재와 부패로 얼룩진 시대에는 무법자가 나타나기 마련이라는 의미심장한 문구로 시작하는 <로빈 후드>12/13세기 영국의 시대적 상황을 면밀하게 좇으면서 로빈 후드라는 의적이 생성될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역사적 맥락을 짚는다. 리들리 스콧은 봉건 수탈 체제에 핍박 받고 신음하는 백성들의 고통에 방점을 찍음으로써, 그리고 민족 보위의 이데올로기에 속은 반군의 정치적 한계까지 드러냄으로써 시대극으로서의 역사적 성찰을 담아낸다. 끝내 부조리한 것은 시대이며, 기득권자들이다. 그리고 그 거대한 부조리에 맞서는 이들의 투쟁은 아름답다.

이것이 시대의 무게를 묘사하기보다 그 무게를 짊어진 이들의 저항을 헛된 야심으로 규정한 <구르믈>의 패배주의적 역사 의식과 가장 뚜렷하게 대비되는 지점이다.

,
BLOG main image
3 M 興 業 (흥 UP)
영화, 음악, 방송 등 대중 문화의 틀로 세상 보기, 무해한 편견과 유익한 욕망의 해방구
by cinemAgor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187)
찌질스(zzizzls) (3)
영화 이야기 (702)
음악 이야기 (34)
TV 이야기 (29)
별별 이야기 (122)
사람 이야기 (13)
3M 푸로덕숀 (156)
애경's 3M+1W (52)
민섭's 3M+α (27)
늙은소's 다락방 (26)
라디오걸's 통신소 (1)
진영's 연예백과사전 (4)
순탁's 뮤직라이프 (10)
수빈's 감성홀 (8)

달력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NM Media textcube get rss DNS Powered by DNSEver.com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3 M 興 業 (흥 UP)

cinemAgora's Blog is powered by Tattertools / Supported by TNM Media
Copyright by cinemAgora [ http://www.ringblog.com ]. All rights reserved.

Tattertools 티엔엠미디어 DesignMyself!
cinemAgora'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Designed by Qwer999. Supported by TNM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