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자 어쌔신' CG 피칠갑 액션 파티

영화 이야기 2009. 11. 21. 15:29 Posted by cinemAgora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닌자 어쌔신>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영화다. 가장 편리하게는 적지 않은 국내 언론들의 방식, 그러니까 "이 영화의 주연을 통해 정지훈(비 또는 Rain)이 월드스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는 시각에서 접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시사회를 통해 미리 영화를 본 바로는, 그런 평가가 괜한 호들갑으로 들리진 않는다. 적어도 정지훈이 동양계 배우로서 할리우드 액션 영화의 주연을 꿰찬 몇 안되는 배우에 합류했다는 점만으로도 의미를 둘만한 작품이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더구나 이런 유의 액션 영화에 기대되는 미덕을 그가 꽤 훌륭하게 소화하고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잘 다듬어진 몸매에 각종 무기들을 다루는 솜씨를 보아하니, "죽자 사자 찍었겠다" 싶을 정도였다
.

어쨌든, 그거야 정지훈의 영광이다. 과연 국내 관객들이 오로지 정지훈의 영광에 찬사를 보내기 위해 <닌자 어쌔신>을 보러 갈 것인가,를 자문한다면, 즉각 두 번째 접근으로 넘어가야 한다. 이미 국내 배우의 해외 진출이라는 수식어가, 다른 모든 결점을 상쇄할만큼의 강력한 흡입 기제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를테면 박중훈이 출연했지만 국내 흥행에선 냉대를 받은 <찰리의 진실>(2002)이라든가, 최근 이병헌이 조쉬 하트넷과 함께 출연한 <나는 비와 함께 간다> 같은 영화가 충분히 입증한 바 있다. 정지훈의 첫 할리우드 출연작 <스피드 레이서>도 그런 점에선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니, <닌자 어쌔신>이라는 영화가 과연 볼만한 작품인가, 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게 더 타당하겠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이 질문에 대해서 나는 유보적이다. 왜 그런고 하니, <닌자 어쌔신>은 관객들의 영화적 취향에 따라 그 호불호가 극명하게 엇갈릴 게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소문을 들어 아시겠지만, 이 영화는 첫 장면부터 사실상 고어 영화에 가까울 정도의 피칠갑 액션을 선보인다. 머리가 싹둑 잘리고, 눈알이 튀어 나오고, 팔 다리가 잘린 자리에 피 분수가 튄다. (영화를 소개할 때 이런 정보는 반드시 줘야 한다. 혹 모르고 봤다가 극도의 위화감과 혐오감을 가지고 영화 자체를 쓰레기로 폄훼하는 사례가 실제로 빈번하기 때문이다
.)

이런 영화를 흥미롭게 관람할 수 있는 취향의 소유자라면, <닌자 어쌔신>의 도륙적 액션 시퀀스를 나름대로 즐기실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 반대라면 혐오스러운 장면을 참아내느라 관람 시간 자체가 고문이 될 터이지만 말이다
.

어쨌든, 슬래셔나 하드고어도 하나의 장르적 장치라는 전제에서 바라본다 해도, 나는 이 영화를 보는 내내, 컴퓨터그래픽에 의해 만들어진 저 무참한 신체훼손의 이미지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앞서 말했듯, 이것은 한 명의 관객으로서 나의 개인적 취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인지도 모르지만,
인물들이 칼을 휘두를 때마다 도륙되는 사람들의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피의 이미지가 지나치게 비현실적이어서, 차라리 게임의 이미지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이를테면 최양일 감독의 <>나 박기형 감독의 <폭력 써클>같은 영화들이 폭력의 잔혹성을 그야말로 잔혹하고도 사실적인 느낌으로 전시하려는 의도와는 정반대의 지점에서, 폭력 그 자체를 유희화하고 있는 셈인데, 이것이 흔히 보는 난도질 영화와는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었다.

고민해 보니, 그 정체는 컴퓨터 그래픽의 가상 현실적 이미지가 주는 특성이라는 결론에 다다랗다. 이것을 워쇼스키들이 제작한 영화이자 정지훈의 첫 할리우드 출연작인 저 찬란한 실패작 <스피드 레이서>에서도 극단적으로 추구됐던 바의 연장선에 놓인 비주얼적 전략이라고 부른다면 적절한 설명이 될까. 나로선 불행 중 다행으로, 그 비현실성에 적응된 순간, 슬래셔적 잔혹함이 하나의 시각적 오락의 차원으로 고양됐다. 제작진이 노렸던 바도 바로 이 지점일 터이나, 또 반대로 그 적응의 순간, 이야기의 상투성이 눈엣 가시처럼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며 오락성의 총합을 상쇄해 버리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상 현실적 비주얼이 새로운 시대의 장르 언어가 될 수 있다고 밀어 붙이며, 자신들에게 호의적인 이들로부터 비주얼 혁명의 개척자로 불리우는 워쇼스키들의 야심은 알겠다. 알겠는데, 내가 보수적인 관객이라서 그런 건지, 아니면 새로운 비주얼에 대한 심미안이 덜 훈련된 건지 몰라도, 매우 단선적인 플롯을 강렬하고도 극단적이며 자극적인 CG로 감싸고 있는 이 영화는 내게 그냥 B급 액션 영화의 테크니컬 업그레이드 버전 이상으로 보이지 않았다.

B
급이라 나쁘다는 얘기가 아니다. 하지만 그 느낌은 이를 테면, 똑같이 B급 감수성으로 똘똘 뭉쳐 있는 쿠엔틴 타란티노의 <데쓰 푸르프>를 볼 때와는 천양지차였다는 얘기다. 왜냐하면, 결정적으로 이들의 새로운 실험은 비주얼적 혁명에 지나치게 자아도취된 나머지, 스토리텔링의 쾌감과 대사의 감칠맛을 홀대하기 때문이다. 정지훈의 전작 <스피드 레이서>도 그런 점에서 지지하지 못했는데, 불행히도 <닌자 어쌔신>도 예외는 아니었다. 11월 26일 개봉.

,
BLOG main image
3 M 興 業 (흥 UP)
영화, 음악, 방송 등 대중 문화의 틀로 세상 보기, 무해한 편견과 유익한 욕망의 해방구
by cinemAgor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187)
찌질스(zzizzls) (3)
영화 이야기 (702)
음악 이야기 (34)
TV 이야기 (29)
별별 이야기 (122)
사람 이야기 (13)
3M 푸로덕숀 (156)
애경's 3M+1W (52)
민섭's 3M+α (27)
늙은소's 다락방 (26)
라디오걸's 통신소 (1)
진영's 연예백과사전 (4)
순탁's 뮤직라이프 (10)
수빈's 감성홀 (8)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NM Media textcube get rss DNS Powered by DNSEver.com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3 M 興 業 (흥 UP)

cinemAgora's Blog is powered by Tattertools / Supported by TNM Media
Copyright by cinemAgora [ http://www.ringblog.com ]. All rights reserved.

Tattertools 티엔엠미디어 DesignMyself!
cinemAgora's Blog is powered by Textcube. Designed by Qwer999. Supported by TNM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