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비유로 시작해 보자. 어느 마음씨 착한 설렁탕집 주인이 동네 사람들에게 무료로 설렁탕을 대접했다. 공짜로 설렁탕 한 그릇을 먹을 수 있으니 당연히 사람들이 줄을 섰다. 다 먹고 난 한 손님, 주인장에게 대뜸 한마디 한다. "거 수육이 너무 적게 들어갔어, 사리도 푸석푸석하고, 에이 맛 없어!" 그런데 그 손님, 다음날에도 공짜 설렁탕을 먹으로 와서 한 그릇을 뚝딱 비우고는 이번에도 한마디 한다. "거 설렁탕이 왜 이렇게 짠거요! 깍두기도 맛없고." 그 손님, 다음날에도 공짜 설렁탕을 먹으러 온다. 맛없다면서 왜 자꾸 오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공짜라니까 자꾸 와서 먹고는 힐난을 던지고 사라진다.
적절한 비유가 됐는지 모르겠지만, 요즘 볼만한 한국영화가 없다고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볼멘 소리들을 듣고 있으면 슬쩍 저 위에 든 상황처럼 느껴진다. 불법 다운로드가 만연하다 못해 일상화된 지금, 관객들이 짐짓 영화의 품질을 논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자 자가당착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모든 관객을 싸잡아 얘기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관객 일반'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불법 다운로드는 '안하면 바보'인 세상처럼 돼 버렸다.
내 주변에도 인터넷에서 영화를 공짜로 다운로드 받아 보는 사람들이 꽤 된다.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의식을 갖는 경우를, 나는 보지 못했다. 불법 다운로드는 엄연히 도둑질이다. 도둑질을 하면서도 죄의식을 갖지 못하는 건 당연하게도 너도 나도 그렇게 해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설령 불법이라 할지라도 어기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죄의식의 크기는 반비례하기 마련이다. 이런 도덕적 해이 현상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불법 다운로드가 한국 영화 시장을 좀 먹는 것을 넘어 아사 직전으로까지 몰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영화진흥위원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 영화 시장의 전체 매출 가운데 극장 수익이 차지하는 비율은 83%에 달한다. 그러나 DVD가 차지하는 시장 비중은 불과 1%에 불과하다. 주요 국가 가운데 비디오나 DVD 등 부가 판권 시장이 축소되다 못해 이처럼 고사 직전에 몰려 있는 나라는 한국이 사실상 유일하다. 말할 것도 없이 불법 다운로드의 폐해다.
국내 영화 시장의 전체 규모는 1조 4천억 원 가량이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 한해 불법 다운로드로 인한 피해액 규모는 그 70%에 육박하는 9천 억 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돈이 어디론가 다 새 버리니, 부가 판권 시장에 대한 기대를 사실상 접은 영화들은 극장 흥행에 목을 매게 된다. 치고 빠지기 흥행 전술과 낚시 마케팅, 스크린 독과점도 다 이에 따른 부작용들이다. 더 심각한 건 볼만한 영화가 적어지는 것이다. 영화 시장에 돈이 정상적으로 돌지 않으면 품질 저하는 말할 나위 없는 수순이다. 이미 가요 시장이 그 타산지석이 됐다.
물론 불법 다운로드를 원천봉쇄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절박하다. 체계적인 양성화와 함께 꾸준한 단속도 필요하다. 그러나 영화 시장의 절박한 상황에 네티즌들이 화답하지 않는다면, 이런 건 모두 무소용이다. 자랑스러운 IT 강국의 네티즌들은 마음만 먹으면 못하는 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대가는 고스란히 참담한 문화적 후퇴로 돌아올 게 뻔하다. 한때 전성기를 구가했던 한국영화는, 또 다시 80년대처럼 값싼 호스테스 멜로나 만들며 '역시 한국영화는 안돼'라는 냉소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주장한다. 오늘도 아무런 죄책감 없이 불법 다운로드로 영화를 보고 있다면, 바로 그 사람이 한국영화 시장 위기의 공범이다. 그러니 그런 분들은 제발 영화의 품질을 논하지 말라. 집주인한테 장물 품평하는 도둑은 없다. 감히 영화를 사랑한다는 말도 입밖에 꺼내지 말라. 누구도 상대방을 착취하고 말려 죽이는 일을 사랑이라 부르지 않는다.
적절한 비유가 됐는지 모르겠지만, 요즘 볼만한 한국영화가 없다고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볼멘 소리들을 듣고 있으면 슬쩍 저 위에 든 상황처럼 느껴진다. 불법 다운로드가 만연하다 못해 일상화된 지금, 관객들이 짐짓 영화의 품질을 논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자 자가당착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모든 관객을 싸잡아 얘기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관객 일반'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불법 다운로드는 '안하면 바보'인 세상처럼 돼 버렸다.
내 주변에도 인터넷에서 영화를 공짜로 다운로드 받아 보는 사람들이 꽤 된다.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의식을 갖는 경우를, 나는 보지 못했다. 불법 다운로드는 엄연히 도둑질이다. 도둑질을 하면서도 죄의식을 갖지 못하는 건 당연하게도 너도 나도 그렇게 해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설령 불법이라 할지라도 어기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죄의식의 크기는 반비례하기 마련이다. 이런 도덕적 해이 현상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불법 다운로드가 한국 영화 시장을 좀 먹는 것을 넘어 아사 직전으로까지 몰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영화진흥위원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 영화 시장의 전체 매출 가운데 극장 수익이 차지하는 비율은 83%에 달한다. 그러나 DVD가 차지하는 시장 비중은 불과 1%에 불과하다. 주요 국가 가운데 비디오나 DVD 등 부가 판권 시장이 축소되다 못해 이처럼 고사 직전에 몰려 있는 나라는 한국이 사실상 유일하다. 말할 것도 없이 불법 다운로드의 폐해다.
국내 영화 시장의 전체 규모는 1조 4천억 원 가량이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 한해 불법 다운로드로 인한 피해액 규모는 그 70%에 육박하는 9천 억 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돈이 어디론가 다 새 버리니, 부가 판권 시장에 대한 기대를 사실상 접은 영화들은 극장 흥행에 목을 매게 된다. 치고 빠지기 흥행 전술과 낚시 마케팅, 스크린 독과점도 다 이에 따른 부작용들이다. 더 심각한 건 볼만한 영화가 적어지는 것이다. 영화 시장에 돈이 정상적으로 돌지 않으면 품질 저하는 말할 나위 없는 수순이다. 이미 가요 시장이 그 타산지석이 됐다.
물론 불법 다운로드를 원천봉쇄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절박하다. 체계적인 양성화와 함께 꾸준한 단속도 필요하다. 그러나 영화 시장의 절박한 상황에 네티즌들이 화답하지 않는다면, 이런 건 모두 무소용이다. 자랑스러운 IT 강국의 네티즌들은 마음만 먹으면 못하는 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대가는 고스란히 참담한 문화적 후퇴로 돌아올 게 뻔하다. 한때 전성기를 구가했던 한국영화는, 또 다시 80년대처럼 값싼 호스테스 멜로나 만들며 '역시 한국영화는 안돼'라는 냉소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주장한다. 오늘도 아무런 죄책감 없이 불법 다운로드로 영화를 보고 있다면, 바로 그 사람이 한국영화 시장 위기의 공범이다. 그러니 그런 분들은 제발 영화의 품질을 논하지 말라. 집주인한테 장물 품평하는 도둑은 없다. 감히 영화를 사랑한다는 말도 입밖에 꺼내지 말라. 누구도 상대방을 착취하고 말려 죽이는 일을 사랑이라 부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