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야기

위대한 소원

cinemAgora 2016. 4. 19. 15:26

대개의 한국 코미디 영화는, 웃음 코드를 앞부분에 집중하고, 뒤로 가면서 멜로 감성으로 달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위대한 소원>은 어느덧 '왠지 그래야만 한다'고 여겨지는 이 관성에서 쿨하게 벗어난다. 좀 싱겁다 싶을 정도로 초반에는 약간 어이 없는 해프닝이 나열되다가, 영화가 중반으로 넘어가면서 코미디가 점층된다. 나는 이렇게 훌륭하고도 매끄럽게 코미디를 점층시키는 한국영화를 근래 거의 만나지 못했던 것 같다.

남대중이라는 걸출한 신인 감독은 루게릭병 시한부라는 비극성과, 10대 소년들에게 으레 찾아오는 리비도의 엄습이라는 희극성을 충돌시킨다. 시한부는 멜로의 관습적 소재이며, 리비도의 엄습은 섹스 코미디와 잘 어울린다. 이 두 요소의 충돌은 의외적이다. 그래서 관객들도 위화감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만약 감독이 판단하고 앞 부분을 구성한 거라면, 그는 대단히 영리한 스토리텔러가 아닐 수 없다. 솜씨 좋게 성공했다. 지난해 이 즈음에나왔던 이병헌 감독(이 영화에 카메오로 등장한다)의 <스물>에 필적할만한, 아니 그보다 훌륭한 청춘 코미디라고 말하고 싶다.

영화 엔딩신의 마라톤 장면에서 김동영이 지어보이는 표정이 딱 이 영화의 감성이다. 그는 우는 표정으로 웃고 있다.

남성 관객이라면 2차 성징기의 저주와 축복으로 달떴던 그 시절을 미소 지으며 회고할 터이다. 여성 관객들의 반응은 어떨지, 나도 궁금하다.